본문 바로가기
체크, 신용카드

3월부터 업그레이드 된 교통 요금 최대 30% 절감되는 알뜰교통카드 모음(충남형 알뜰교통카드 OPEN)

by RV_JMT 2023. 2. 27.
반응형

 

최근 대출이율이 5%가 넘어가면서 고정지출비를 많이 줄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줄일 수도 아낄 수도 없는 것이 바로 대중교통 요금입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작년 12월 '적자 누적'으로 8년 만에 지하철과 버스 요금 300원씩 인상2023년 올해 4월 인상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될 경우, 지하철은 1250원 → 1550원이 되고, 시내버스는 1200원 → 1500원이 됩니다. 현금기준으로는 지하철은 1650원이 되고, 시내버스는 1600원이 됩니다.

 

이러한, 대중교통 요금을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카드가 있습니다. 바로 오늘 소개드릴 "알뜰 교통카드"입니다. 이 알뜰 교통카드는 체크/신용카드가 있으며, 적립을 받기 위해서는 APP을 까는 등 조건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목차에 있는 3번 알뜰교통카드 신용카드/체크카드 소개와 4. 결론으로 바로 가시면 됩니다.

 


 

알뜰교통 카드

알뜰교통카드는 대한민국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한 카드로서,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일정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버스, 지하철, 택시, 고속버스 등의 교통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 발급 시 현재 거주하는 지역의 교통 관련 단체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일반적으로 카드 자체에 일정한 금액을 충전하여 사용하며, 충전된 금액은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또한, 일정한 금액을 충전하면 일정한 할인율이 적용되는 등의 혜택도 제공됩니다.

알뜰교통카드는 환경 보호와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도로,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알뜰 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최대 30%라는 소리는 그 이하의 혜택이 있다는 말입니다. 제가 서론에 알뜰교통카드는 체크카드와 신용카드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최대 30%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라면 신용카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의 간단한 개요

(이미지 : 한국교통안전공단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1. 사용절차 및 마일리지 적립 안내

 

  1. 사용절차 안내
    • 우리 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티머니페이 알뜰교통카드 신청
    • 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 만 19세 이상 회원가입 가능
      ※ 내 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필수(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는 경우, 회원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카드 수령 후 가능
    • 출발지에서 앱 내에 "출발"버튼 클릭 →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 도착지에 도착하면 앱 내에 "도착"버튼 클릭
      ⭐️아이폰 iOS 버전 12부터는 건강 접근권한 허용하면 "출발"과 "도착" 버튼 클릭 없이 마일리지 적립 가능 할 수 있게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아이폰유저라면 접근권한 허용하셔서 마일리지 적용혜택 잊지 말고 챙겨보세요!⭐️

알뜰교통 사용절차
알뜰교통카드 사용절차 안내

(이미지 : 한국교통안전공단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1.  
  2. 마일리지 적립 안내
    • 월 15회 이상 알뜰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 및 주민등록상 주소지 확인 되어야 마일리지 지급됩니다.
      ※단, 주민등록상 주소지 정상인 경우, 알뜰교통카드 앱 가입 첫 달은 대중교통 이용 횟수 무관

      - 알뜰교통카드 사용은 전국에서 가능합니다. (동해선 일부 적립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은 만 19세 이상 회원가입 가능합니다.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대상지역이 아니거나 주소지 정상 확인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지급되지 않습니다.
      - 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고 알뜰교통카드 앱을 이용하지 않으면 마일리지가 적립 및 지급되지 않습니다.

    • [후불카드] 신한카드/우리 카드/하나카드
      - 카드사에서 발급받은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 마일리지 지급일 및 지급방법은 카드사 정책, 카드종류, 카드대급결제일에 따라 상이하므로 정확한 지급일 및 지급방법은 카드사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동일 카드사의 카드 재발급한 경우, 카드번호 등록하지 않아도 자동 연계되어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

      ▶ 즉, 카드를 분실하여 동일 카드사의 동일카드로 재발급할 경우 자동 연계되어 카드등록을 하지 않아도 됨. 뿐만 아니라 같은 카드사의 카드를 재발급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등록되어 앱 내에서 카드를 등록하지 않아도 됨.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가능 지역 :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세종, 울산, 제주, 충북(청주, 옥
천, 제천, 충주) , 
충남 ,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정읍) ,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 경산, 안동) , 경남 , 강원(춘천, 강릉, 원주)
 ※ 2023-01-01 기준


  1.  

    • [선불카드] 티머니페이
      - 제로페이 알뜰교통카드는 티머니페이 앱(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 애플 아이폰에서는 교통카드 NFC 이슈로 인해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 티머니페이(티머니페이 앱)와 알뜰교통카드 앱을 동시에 이용해야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 매월 16일 T마일리지로 지급됩니다.
      - 2022년 7월 20일까지 전송되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에 적용되는 사항: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제주, 전남(구례, 강진, 함평), 경북(포항, 영주, 상주), 경남(통영, 거제) 외 지역에서 이용한 경우, 최소 마일리지 50원 적립됩니다.
      - 2022년 7월 21일부터 전송되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에 적용되는 사항: 전국 어디에서나 마일리지 적립 (시스템 개선 완료)
      ※ 김해시 일부 제외 (가야 IBS(주), ㈜김해순환버스, ㈜동부교통, 태영고속)
      ※ 광주광역시는 교통카드 데이터 상호호환 시스템 연내 개발 완료(2023.01.01)
      ※ 교통카드 이용내역은 실시간 전송되지 않으며, 최소 3일 ~ 8일(주말, 공휴일 포함) 소요됩니다.
      - 삼성페이, LG페이 등 타 모바일페이 이용 시에는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선불카드] 모바일캐시비
      - 모바일캐시비 앱에서 발급된 선불형 교통카드를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하여 사용합니다.
      - 모바일캐시비 앱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만 이용 가능합니다. (NFC 기반 금융 USIM 필수)
      - 모바일캐시비 앱과 알뜰교통카드 앱을 동시에 이용해야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 마일리지는 매월 10일 캐시비 앱의 선물함으로 지급 안내됩니다.
       유효기간 내 마일리지 수락 시, 즉시 지급됩니다.
      - 모바일캐시비 제휴 서비스(삼성페이, LG페이 등)나 후불형 서비스 이용 시에는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2022년 7월 20일까지 전송되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에 적용되는 사항: 대구, 광주, 대전, 세종, 제주, 전남(강진, 구례, 진도), 경북(경산, 고령, 군위, 문경, 봉화, 상주, 성주, 안동, 영덕, 영양, 영주, 영천, 예천, 울릉, 울진, 의성, 청도, 청송, 칠곡, 포항), 경남, 충남(계룡)의 경우 최소 마일리지 50원 적립됩니다.
      - 2022년 7월 21일부터 전송되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에 적용되는 사항: 전국 어디에서나 마일리지 적립 (시스템 개선 완료)
      ※ 김해시 일부 제외 (가야 IBS(주), ㈜김해순환버스, ㈜동부교통, 태영고속)
      ※ 광주광역시는 교통카드 데이터 상호호환 시스템 연내 개발 완료(2023.01.01)
      ※ 경남 거창, 합천 지역에서 모바일캐시비 이용 불가합니다.
      ※ 교통카드 이용내역은 실시간 전송되지 않으며, 최소 3일 ~ 8일(주말, 공휴일 포함) 소요됩니다.

※ 유의사항
- 알뜰교통카드 앱 가입 후, 모바일캐시비 앱에서 선불형 → 후불형으로 변경 시, 마일리지 혜택 제공되지 않습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혜택은 모바일캐시비 앱으로 선불형 카드 태그 시에만 제공됩니다.
- 모바일캐시비 앱이 아닌 타 앱 이용 시, 제공되지 않습니다. 모바일캐시비 앱에서 후불형 → 선불형 변경 시, 알뜰교통카드 앱 내 “카드변경”에 카드번호를 등록(변경)하셔야 마일리지 혜택 제공됩니다.
- 모바일캐시비 앱이 아닌 타 앱(삼성페이 등) 이용 → 모바일캐시비 앱으로 변경 이용 시, 알뜰교통카드 앱 내 "카드변경"에 카드번호를 다시 등록하셔야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 USIM 변경 시, 카드번호가 변경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앱 내 “카드변경”에 변경된 카드번호를 등록(변경)해주세요.. 
  1.  

    • [선불카드] 원패스
      - 원패스 앱에서 발급된 교통카드를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하여 사용합니다.
      - 원패스 앱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만 이용 가능합니다.
      - 알뜰교통카드 가입일과 무관하게 카드발급 후 최대 3 영업일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애플 아이폰에서는 교통카드 NFC 이슈로 인해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 원패스 앱과 알뜰교통카드 앱을 동시에 이용해야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매월 초 3 영업일에 지급됩니다.
      - 삼성페이, LG페이 등 타 모바일페이 이용 시에는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2022년 7월 20일까지 전송되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에 적용되는 사항: 대구 및 일부 경북(경산, 고령, 성주, 영천, 청도) 외 지역에서 이용하는 경우, 최소 마일리지 50원 적립됩니다.
      - 2022년 7월 21일부터 전송되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에 적용되는 사항: 전국 어디에서나 마일리지 적립 (시스템 개선 완료)
      ※ 김해시 일부 제외 (가야 IBS(주), ㈜김해순환버스, ㈜동부교통, 태영고속)
      ※ 광주광역시는 교통카드 데이터 상호호환 시스템 연내 개발 완료(2023.01.01)
      ※ 경남 거창, 합천 지역에서 원패스 이용 불가합니다.
      ※ 부산 동해선 운영사로부터 정류장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관계로 원패스로 동해선 이용 시,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교통카드 이용내역은 실시간 전송되지 않으며, 최소 3일 ~ 8일(주말, 공휴일 포함) 소요됩니다.

 

 


 

 

2. 혜택 안내

 

  1.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보행, 자전거 최대 800m 이동시, 월상 한 44회)

    교통요금 지출액 2천 원 미만 2천 원 이상~3천 원 미만 3천 원 이상
    마일리지 지급액 최대 250원 최대 350원 최대 450원
    •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지급,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 시 두 배 지급
  2. ⭐저소득층 마일리지 상향 지원
    • 대상 :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2021년 4월 1일부터 지원대상이 저소득층 청년(만 19세~34세)에서 전 연령(만 19세 이상)으로 확대됩니다.
    • 저소득 지원 대상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회원가입 또는 내 정보에 등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 증빙서류 등록일 기준으로 상향 마일리지가 적용됩니다.

      구분 1회 교통비 비고
      2천 원 미만 2천 원 이상~3천 원 미만 3천 원 이상
      ~22년 7월까지 350원 500원 650원 최대이동거리 800m 기준
      22년 8월부터~ 500원 700원 900원
  3. 청년층 마일리지 상향 지원
    • 대상 : 기본 마일리지 적립대장사 중 만 19세 ~ 34세

      구분 1회 교통비 비고
      2천 원 미만 2천 원 이상~3천 원 미만 3천 원 이상
      ~22년 12월까지 250원 350원 450원 최대이동거리 800m 기준
      23년 1월부터~ 350원 500원 650원

 

마일리지 적립 방식

 

알뜰교통 마일리지 적립 방식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방식

(이미지 : 한국교통안전공단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3. 알뜰교통카드 신용카드/체크카드 소개

 



신한카드

알뜰교통 신한카드
알뜰교통카드 신한카드

 

- 카드 발급 페이지 :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card/apply/credit/1188458_2207.html

 

알뜰교통 신한카드

가볍고 편해지는 발걸음~ 대중교통 요금 10% 할인

www.shinhancard.com

8

  1. 알뜰교통카드 신한 신용카드 
    • 생활서비스 10% 할인

      실적기준 30만 원~50만 원 50만 원~100만 원 100만 원 이상
      할인한도 1만 원 2만 원 3만 원
      ※ 생활서비스는 통합할인한도 내에서 적용되나, 대중교통이 우선 적용됨.
      ※ 교통카드 이용금액이 실적에 포함됨
    • 연회비 : Upi : 12,000원 / Master : 15,000원

  2. 알뜰교통카드 신한 체크카드
    • 대중교통 10% 할인

      실적기준 30만 원~50만 원 50만 원~100만 원 100만 원 이상
      할인한도 1만 원 2만 원 3만 원
      ※ 교통카드 이용금액도 전월 실적에 포함됨
      ※ 연회비 : 없음

알뜰교통카드 신한카드 POINT

  • 상대적으로 저렴한 연회비 12,000원~15,000원(신용카드),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음
  • 교통카드 이용 금액 카드 실적 포함 됨

 

 

반응형

 



우리 카드

알뜰교통카드 우리카드
알뜰교통카드 우리카드

 

- 카드발급 페이지https://pc.wooricard.com/dcpc/yh1/cct/cct14/H1CCT214S02.do

 

우리카드 - NU

우리사는 방식, New&Unique

pc.wooricard.com

 

  1. 알뜰교통카드 우리 신용카드 
    • 대중교통 10% 할인

      전월 국내 가맹점 이용금액 30만 원~70만 원 70만 원~120만 원 120만 원 이상
      월 할인한도 1만 원 2만 원 4만 원
      ※ 할인받은 매출은 전월 실적 신청 시 제외됨
      ※  교통할인은 주요 자동이체(통신, 공과금, 렌털 학습지, 보험) 할인과 월 통합한도 내에서 제공됨.

    • 연회비 : (해외전용) MasterCard: 15,000원 / (국내전용) BC : 13,000원

  2. 알뜰교통카드 우리 체크카드
    • 대중교통 3천 원 캐시백

      전월실적 20만 원~50만 원 50만 원~70만 원 70만 원 이상
      월간 기본 캐시백 한도 8천 원 1만 8천 원 2만 8천 원
      월간 추가 캐시백 한도 2천 원
      월간 통합 캐시백 한도 1만 원 2만 원 3만 원
      전월 실적 산정 시 캐시백 받은 국내매출도 포함됨
      ※ 교통카드 이용금액도 전월 실적에 포함됨
      ※ 연회비 : 없음

알뜰교통카드 우리 카드 POINT

  • 연회비 13,000원~15,000원(신용카드),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음
  • 교통카드 및 할인받은 매출 이용 금액 카드 실적 포함 안 됨, BUT 체크카드는 교통카드 이용 금액도 전월 실적 포함 됨.

 

 

 



하나카드

알뜰교통카드 하나카드
알뜰교통카드 하나카드

 

- 카드 발급 페이지 :  https://www.hanacard.co.kr/OPI42000000D.web?_frame=no&CD_PD_SEQ=11628 

 

하나카드

시내버스, 마을버스, 광역버스, 공항버스, 지하철/공항철도 이용금액의 15% 캐쉬백 (월 3만원 이상 이용시 최대 5천원)

www.hanacard.co.kr

 

  1. 알뜰교통카드 하나 신용카드 
    • 대중교통 20% 할인

      대상 가맹점 할인율 할인한도 할인 횟수
      대중교통 20% 1만 5천 원/월 제한 없음
      ※ 전월 1일~말일까지 국내외 일시불/할부 사용금액이 50만 원 이상 시 서비스 제공
      ※ 대중교통으로 이용한 후불교통카드 매출 건에 한해 할인 제공
      ※ 티머니/캐시비 등 교통카드 충전금액 제외

    • 연회비 : MasterCard: 17,000원 / UPI: 17,000원

  2. 알뜰교통카드 하나 체크카드
    • 대중교통 15% 할인

      대상 가맹점 캐시백 서비스 할인한도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15% 월 3만 원 이상 이용 시 최대 5천 원
       전월 1일~말일까지 국내 가맹점 사용금액이 25만 원 이상 이용 시 서비스 제공
      ※ 연회비 : 없음

알뜰교통카드 하나카드 POINT

  • 연회비 17,000원(신용카드),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음
  • 신용카드 혜택은 무난한 편, 체크카드는 혜택이 굉장히 작은 편이므로 체크카드 사용 비추천

 

 

 


 

4. 결론

 

- 알뜰교통카드 앱은 만 19세 이상 회원가입 가능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대상지역이 아니거나 주소지가 확인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 마일리지 지급 안 됨.

- 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면서(태깅) 알뜰교통카드 앱을 켜서 "출발", "도착" 버튼을 눌러야 마일리지가 적립됨
-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 시 혹은 환경과 관련된 날에는 마일리지 두 배 지급
- 굳이 앱을 사용하여서 눌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정신없는 아침이나 출근길에서는 잊기 쉬운 점이 단점.
 → 앱 내에 있는 "출발" 버튼을 누르고 교통카드를 태깅해야 적립시작, "도착" 버튼은 깜빡하고 누르지 않아도 적립됨.
 → 만약, 역까지 걸어간다면 집에서부터 "출발" 버튼을 누르면 도보거리도 적립되므로 잊지 말고 "출발" 버튼 누르기

  아이폰 유저라면(iOS 버전 12부터) "출발" 및 "도착"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건강 접근권한 허용하면 마일리지 적립

- 교통카드 할인 카드들 중에 적립률이 굉장히 높은 편

- 알뜰교통카드는 카드 전월실적에 비해서 할인이 조금 약한 편, 따라서 체크카드 추천

- 개인적으로는 알뜰교통 카드 추천은 신용카드 : 신한 > 하나 > 우리, 체크카드 : 우리 > 신한 > 하나

(실사용 후기 : 저는 약 3년 전부터 사용했는데요, 그때 당시에는 어플이 제대로 갖춰서 있지 않아서인지 어플에서 '출발'버튼을 누르고 이동하던 중에 어플이 꺼져서 출발버튼을 이미 눌렀는 데에도 출발버튼이 다시 활성화되어 적립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습니다. 추가로 이러한 문제를 고객센터? 와 같은 곳에 문의하면 확인 후 적립을 해주었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꽤 컸습니다. 그렇지만 교통요금이 최대 30%까지 되는 카드가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였습니다. 어플의 편의성이 좋아졌다면 개인적으로 굉장히 추천하는 카드이며, 신용보단 체크카드를 추천드리며 체크카드 중에서도 우리 카드를 추천드립니다. 전월실적이 20만 원으로 저렴한 편이며 20만 원 사용 시 할인 혜택이 합리적이며, 교통요금이 카드 실적에 포함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통신비 할인카드 30만 원 실적 채우고 알뜰교통카드로 우리 체크카드 20만 원 실적 채워서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loading